데시벨

리뷰

개봉일: 2022년 11월 16일
감독: 황인호
각본: 황인호, 이진훈
연출: 황인호
장르: 액션, 스릴러
제작사: 이스트드림시노펙스
상영시간: 110분
등급: 12세 관람가

  • 김래원: 강도영 역 (전직 해군 부함장)
  • 이종석: 전태성 역 (폭탄 설계자, 멘사 출신 해군 대위)
  • 정상훈: 오대오 역 (특종 취재 기자)
  • 박병은: 차영한 역 (군사안보지원사령부 요원)
  • 이상희: 장유정 역 (해군 E.O.D 상사)
  • 조달환: 노정섭 역 (해군 잠수함 음탐장)
  • 차은우: 전태룡 역 (해군 잠수함 음향 탐지 부사관, 특별출연)
  • 이민기: 황영우 역 (해군 잠수함 대위, 특별출연)

"데시벨"을 보며, 내가 예전에 겪었던 한밤중의 전화벨 소리를 떠올렸다. 당시, 대리운전 기사로 일을 시작했을 때의 일이다. 길을 잘 모르던 나는 늘 내비게이션을 의지했다. 그 날도 낯선 지역으로 가던 중, 어느 골목에서 낯선 소리가 울려 퍼졌고, 나는 그 소리에 반응할 수 없었다. 알고 보니 그 소리가 중요한 신호였고, 나는 그걸 놓쳤다. "데시벨" 속 주인공 김도겸처럼, 소리를 듣지 못하는 상황에서 자신의 능력과 상황에 맞춰 대처하는 능력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되었다.

영화에서 김도겸이 청각을 잃고도 폭탄 테러의 위협에 맞서는 모습은 마치 내가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반응하는 방식과 닮았다. 주어진 조건 속에서 최선을 다하는 모습이 어찌나 절절하게 와닿았는지, 그때의 감정이 다시 떠올랐다. 아무리 능력이 뛰어나도, 무언가 하나 빠지면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운 그 한계를 느꼈던 경험들이 떠오른 것이다.

김도겸이 절박한 순간마다 청각을 대신할 수 있는 다른 능력을 발휘하는 것처럼, 나도 직장에서의 어려운 순간들을 겪으며 나만의 방법을 찾아가던 그 시절을 기억한다. 외부에서의 어려움도 있지만, 그 안에서 결국 자신을 믿고 하나씩 해결해 나가는 과정은 그 당시 나에게 큰 교훈을 주었던 기억이었다.

이 영화는 그저 액션 스릴러의 틀에 갇히지 않고, 인간적인 갈등과 가족애를 잘 녹여내며 관객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한다. 특수한 상황에 처해 있는 사람들의 능력을 어떻게 평가할지, 그들이 놓인 환경을 어떻게 이해할지에 대한 깊은 고찰을 유도했다. 비단 김도겸만의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이야기로 비춰졌다.

이슈 및 관객 반응

이슈

  1. 안전 통제: 촬영 현장은 안전상의 이유로 완벽하게 통제되어야 했습니다.
  2. 배우들의 리얼한 반응: 실제 폭발로 인해 배우들이 진짜 경험하는 것처럼 연기할 수 있었습니다. 정상훈 배우는 "폭탄 소리가 정말 크고 먼지 튀는 것까지 리얼해서 사람들이 와아 박수쳤다. 정말 깜짝 놀랐다"고 언급했습니다.
  3. 다양한 액션 장면: 김래원 배우는 카체이싱, 수중 촬영, 고층 건물에서 뛰어내리기 등 다양한 액션 장면을 소화했습니다.
  4. 현장감 살리기: 김래원 배우는 감독에게 직접 제안하여 컴퓨터그래픽으로 처리하기로 했던 자동차 추격신을 실제로 운전하며 연기했습니다.

관객 반응

  1. 독특한 소재: '소음 반응 폭탄'이라는 신선한 설정이 관객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2. 긴장감 넘치는 전개: 도심 한복판에서 벌어지는 테러 상황이 고도의 긴장감을 자아냈습니다.
  3. 탄탄한 연기력: 김래원, 정상훈, 이종석, 박병은 등 출연진들의 열정적인 연기가 긴장감을 더했습니다.
  4. 흥미진진한 초반부: 궁금증을 일으키는 스토리와 긴장감 넘치는 전개로 초반에 관객들의 흥미를 끌었습니다.
  5. 후반부 개연성 부족: 후반부로 갈수록 스토리의 개연성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있었습니다.
  6. 소재의 허무한 활용: 주요 소재인 소리 폭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했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7. 억지스러운 설정: 일부 설정이 다소 억지스럽다는 평가가 있었습니다.
  8. 끊기는 스토리: 중간에 스토리가 뚝뚝 끊겨 몰입감을 방해한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비슷한 스타일의 영화

  1. "그레이 맨" (2022)
    CIA의 최정예 암살 요원 '식스'(라이언 고슬링)는 조직의 비밀을 우연히 알게 되어 타겟이 됩니다. 그는 전 세계를 무대로 펼쳐지는 숨 막히는 추격전에서 살아남아야 합니다. 냉혹한 용병 '로이드'(크리스 에반스)의 추격을 피해 도망치는 과정에서 인간적인 고뇌와 갈등, 그리고 의리와 우정이 드러납니다. '데시벨'처럼 긴박한 상황 속 추격전과 액션 시퀀스가 돋보이는 작품입니다.
  2. "헌트" (2022)
    1980년대 대한민국을 배경으로, 안기부에 숨어든 스파이를 찾기 위한 숨 막히는 추격전을 그립니다. 안기부 요원 박평호(이정재)와 김정도(정우성)는 서로를 의심하며 스파이를 찾아 나섭니다. '데시벨'과 유사하게 긴장감 넘치는 스토리와 화려한 액션, 그리고 배우들의 열연이 돋보이는 작품입니다.
  3. "테넷" (2020)
    주인공(존 데이비드 워싱턴)은 의문의 조직 '테넷'에 합류하여 시간의 흐름을 조종하는 기술 '인버전'을 이용해 제3차 세계대전을 막아야 하는 임무를 맡게 됩니다. 과거, 현재, 미래를 넘나드는 치열한 싸움 속에서 세상을 구하기 위한 위험한 여정을 떠납니다. '데시벨'과 마찬가지로 긴박한 상황 속에서 펼쳐지는 액션과 스릴러 요소가 강한 작품입니다.

          데시벨 네이버 공식홈페이지에서 예고편 다시보기

          아래 버튼을 클릭하여 동영상을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다시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