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
리뷰
개봉일: 2022년 12월 30일 (파트 1), 2023년 2월 24일 (파트 2)
감독:
배종
연출: 배종
장르: 판타지 액션 드라마
제작사: 티빙,
와이랩 플렉스, 스튜디오드래곤
상영시간: 6부작 (파트 1), 6부작 (파트
2)
등급: 15세 이상 시청가
- 김남길: 반 역
- 이다희: 원미호 역
- 차은우: 요한 역 (구마사제)
- 성준: 궁탄 역
"아일랜드"를 처음 본 순간, 마치 오래된 고서적을 펼쳤을 때처럼, 전통과 현대가 섬세하게 엮여있는 이야기에 푹 빠져들었다. 어릴 적 할머니가 들려주시던 제주도의 전설들처럼, 그곳의 바람, 그 바다의 파도, 그리고 그 위에서 펼쳐지는 이야기는 내게 또 다른 차원의 세계로의 여행을 선사했다. 그 시절, 내게 제주도는 언제나 신비로운 섬이었다. 바람을 따라 나가면 길을 잃을 것 같고, 바다를 보며 지나간 세월을 생각했다. "아일랜드"는 그런 제주도를 배경으로 한 만큼, 그 신비함을 그대로 끌어내면서도, 내가 알지 못한 새로운 매력을 선보였다.
이 드라마는 단순히 판타지 액션에 그치지 않는다. "아일랜드"는 제주도라는 물리적 공간을, 한국의 전통적인 설화와 현대적 슈퍼히어로 장르를 결합시켜, 마치 내가 어릴 적 떠났던 모험처럼 새로운 경계를 열어줬다. 그런 점에서, 제주도는 내가 그곳을 처음 여행했을 때처럼, 또 다른 차원으로 나를 인도하는 매개체가 되었다. 드라마 속에서 악귀와 맞서는 주인공들의 모습은 내가 고등학교 시절에 불멸의 게임 캐릭터와 싸우던 그때의 감정을 되살려 주었다. 언제나 악당을 처치해야 한다는 그 미션은, 마치 하루하루를 보내며 내가 무언가를 이뤄가야 하는 느낌과 같았다.
그리고 "아일랜드"의 가장 큰 성과 중 하나는, 한국 콘텐츠의 세계적인 확장을 보여줬다는 점이다. 내가 처음 해외에서 한국 영화를 보며 느꼈던 자부심처럼, "아일랜드"는 세계 시장에서 한국의 판타지 액션 드라마가 충분히 경쟁력 있음을 증명했다. 그 전에는 볼 수 없었던, 아시아를 넘어 중동, 아프리카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건, 마치 내 어린 시절, 동네 친구들에게 한국 드라마를 소개했을 때처럼, 그 의미가 더 크게 다가왔다. "아일랜드"가 아마존프라임비디오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며, 글로벌 드라마의 문을 열었을 때, 나는 그저 영화나 드라마가 해외에 진출하는 것이 아니라, 내 고향인 한국의 문화가 세계로 뻗어나가는 순간을 목격했다.
그 과정에서, 내 마음 속에도 새로운 가능성이 생겨났다. "아일랜드"가 시청자들의 기대감을 자아내며 글로벌 성공을 거두었듯, 내가 그동안 꿈꾸어 온 것들이 결국 현실로 이루어질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다. 그리고 이 드라마의 성공이 나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예전에는 내 꿈을 작은 박스에 갇혀두려 했었지만, "아일랜드"처럼 큰 스케일로 나아가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용기를 얻었다. 그 덕분에, 내 자신을 다시 돌아보며 그동안의 기회들을 놓치지 않도록 더 큰 눈을 뜨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아일랜드"는 단순히 한국 드라마의 하나로 끝나지 않는다. 그 자체가 한국의 전통을 현대적이고 글로벌한 언어로 풀어내며, 세계로 향하는 길을 열어준 작품이었다. 예전, 내가 여행하면서 느꼈던 한국의 문화와 자연을 자랑스럽게 다른 나라 사람들에게 이야기하던 그 순간처럼, 이 드라마는 한국의 전통과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역할을 훌륭히 해냈다. 마치 내가 한국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들고 세계를 여행하던 기분이었다. "아일랜드"는 한국 콘텐츠의 가능성을 더욱 확고히 보여주었고, 나는 그 결과물을 보며 다시 한 번 꿈꾸기 시작했다.
이슈 및 시청자 반응
이슈
- 대규모 제작비 투자: '아일랜드'는 총 제작비 200억 원 이상이 투자된 대작으로 주목받았습니다. 이는 당시 국내 드라마 시장에서 상당히 큰 규모의 투자였습니다.
- 제주도 현지 촬영: 원작의 배경을 살리기 위해 대부분의 촬영이 제주도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배종 감독은 제주도의 정서와 신화적 요소를 작품에 녹여내기 위해 노력했다고 밝혔습니다.
- 시각효과(VFX) 제작의 어려움: 판타지 장르의 특성상 고난도의 컴퓨터그래픽(CG)과 시각특수효과(VFX)가 필요했습니다. 배종 감독은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했다고 언급했습니다.
- 원작 팬들의 기대와 부담: 인기 웹툰을 원작으로 한 만큼, 원작 팬들의 높은 기대로 인해 제작진과 배우들이 부담을 느꼈습니다. 특히 김남길은 이러한 부담감 때문에 처음에는 출연을 두 번이나 거절했다고 밝혔습니다.
- 드라마 연출 도전: 영화 감독으로 알려진 배종 감독이 이번 작품을 통해 처음으로 드라마 연출에 도전했다는 점도 화제가 되었습니다.
시청자 반응
- 탄탄한 배우 라인업: 김남길, 이다희, 차은우, 성준 등 실력파 배우들의 출연으로 기대감을 높였습니다.
- 글로벌 진출: 국내 공개와 동시에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를 통해 해외 시청자들에게도 선보여 K-콘텐츠의 위상을 높였습니다.
- 독특한 소재: 제주도의 전설과 설화를 바탕으로 한 판타지 액션 드라마라는 점에서 신선하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 높은 제작비: 대규모 제작비 투자로 인한 높은 퀄리티의 영상미와 특수효과가 호평을 받았습니다.
- 원작과의 차이: 웹툰 원작의 팬들 중 일부는 원작과의 차이점에 대해 아쉬움을 표현했습니다.
- 스토리 전개: 일부 시청자들은 스토리 전개가 다소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 장르의 특수성: 판타지 액션 장르의 특성상 일부 시청자들에게는 몰입도가 떨어진다는 평가가 있었습니다.
- 캐릭터 설정: 일부 캐릭터의 설정과 행동에 대해 개연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비슷한 스타일의 드라마
-
"도깨비" (2016-2017)
고려 시대 무신 김신은 신의 저주로 불멸의 도깨비가 됩니다. 그는 자신의 가슴에 꽂힌 검을 뽑아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도깨비 신부를 찾아 현대에 살아갑니다. 우연히 고등학생 은탁을 만나면서 그녀가 도깨비 신부임을 알게 되고, 둘은 서로에게 이끌리게 됩니다. 도깨비와 인간의 사랑, 그리고 죽음을 둘러싼 운명적인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
"구미호뎐" (2020)
구미호 이연은 인간 세상에서 살아가며 자신의 정체를 숨기고 있습니다. 한편, 방송 PD 남지아는 구미호를 잡는 프로그램을 제작 중입니다. 우연히 이연과 남지아가 만나게 되면서, 둘의 관계는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발전합니다. 구미호와 인간 사이의 금기된 사랑, 그리고 구미호를 둘러싼 비밀과 음모가 얽혀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
"킹덤" (2019-2020)
조선 시대, 왕세자 이창은 괴질이 퍼진 조선을 구하기 위해 고군분투합니다. 괴질의 원인을 찾아 나서는 과정에서 그는 좀비와 같은 괴물들과 맞닥뜨리게 됩니다. 동시에 왕권을 둘러싼 정치적 음모와 싸우며, 백성들을 구하고 진실을 밝히려 노력합니다.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한 좀비 판타지 스릴러로, 긴장감 넘치는 전개와 화려한 액션이 특징입니다.
아일랜드 TVING 공식홈페이지에서 동영상 다시보기
아래 버튼을 클릭하여 동영상을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다시보기
0 Comments
댓글 쓰기